<
><><
><><
> <
> <
> <
> <
> <
> <><><
> <
><><이 책이 싹을 틔우기까지><> <
> <
><>시인 안도현과 그림동화 작가 이혜리. <><
> <
><>각자의 영역에서 두터운 독자층을 가지고 있는 인기 작가인 두 사람은 동갑내기다. 그래서인지 두 작가는 글과 그림으로 서로 호흡이 착착 맞아 떨어진다. <><
> <
><>10여 년 전. 안도현의 어른들을 위한 동화 『관계』를 읽었을 때, 그림책이 머릿속에 떠올랐다. 꿈의 실현, 존재의 가치, 더불어 사는 의미, 자연의 순환 등, 이 짧은 작품에는 아이들에게 들려 줄 이야기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작품을 소화할 그림 작가를 찾기가 어려워 마음속에 고이 숨겨두었다. 그리하여 <><>‘그림책『관계』’<><>는 몇 년의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
> <
><>그러던 중 이혜리 작가라면 도토리와 낙엽을 잘 살려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산에서 작가를 만나기를 여러 번. 어느 날 그녀의 화실에 들렀을 때, 넓은 작업대에 갈참나무 낙엽과 도토리가 한가득 펼쳐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일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작가는 도토리와 낙엽의 대화에 끼어들어 그들과 함께 살았고, 이 책이 세상의 빛을 보게 되었다. <><
> <
><><
><><
> <
><><도토리 하나가 갈참나무가 되는 성장 이야기><> <
> <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만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것에 무관심하기가 쉽다. 이 책은 보이지 않는, 그래서 우리가 깨닫지 못한 수많은 관계로 이루진 세상을 도토리와 낙엽들의 대화를 통해 알려 준다.<> <
> <
><><
><><
> <
><>어느 가을날, 갈참나무에 매달려 있던 도토리가 땅에 떨어진다. 낙엽들은 외톨이가 된 도토리를 감싸 안고 보호해 준다. 도토리와 낙엽들은 갈참나무라는 한 부모에게서 나온 형제 같은 존재다.<> <
> <
><>인간의 손길과 쥐들의 눈을 피해 숨어 지내면서, 도토리는 고마운 낙엽들을 위해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의 처지를 불평한다. 그러나 낙엽들은 다정한 말로 도토리에게 용기를 준다. <><>“네 몸속에는 갈참나무가 자라고 있어.”<><> 도토리가 살아남아서 갈참나무로 태어나면 낙엽들도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세상과 또 다시 관계를 맺는 것이 낙엽들의 꿈이라고 말이다. 도토리는 그 말을 이해할 수 없었지만, 낙엽들을 위해 어려움을 참고 견디기로 한다. 이렇게 도토리와 낙엽들은 대화를 통해 세상과 다시 관계 맺기를 준비한다. <><
> <
><>추운 겨울이 지나고 화창한 봄날이 되자, 숲 속은 새 생명의 기운으로 출렁거린다. 도토리와 낙엽들의 관계 속에서 수많은 어린 갈참나무들이 다시 태어난 것이다. <><
> <
><><
><><
> <
><>보잘 것 없고 나약해 보이는 도토리도 존재하는 의미가 있고, 말라비틀어진 낙엽들도 존재의 의미가 있다. 이들이 서로의 관계를 통해 싹을 틔우고 생명을 꽃피운다. 작은 도토리와 보잘 것 없어 보이는 낙엽들도 태어나고, 성장하고, 소멸하고, 다시 태어나는 거대한 자연의 순환 고리 속에 있는 것이다. <><
> <
><><
><><
> <
><>우리 어린이들도 도토리와 마찬가지다. 아직은 자기 안에 들어있는 생명과 희망의 씨앗을 인식하지 못하지만, 사회와 관계를 맺고 다음 세대를 이어갈 준비를 한다. 어린이들이 이 책을 통해 부모·형제와 친구, 그리고 주변에 있는 모든 것에 다시금 관심을 갖고 그 존재의 의미를 살펴보기를 바란다. 아이들이 세상을 사랑과 희망의 눈길로 바라보는 것, 이것이 그림책 <><>『관계』<><>의 꿈이다. <><
> <
><><
><><
> <
><><내용 소개><> <
> <
><>톡! 갈참나무에서 도토리 하나가 땅에 떨어진다. 혼자가 된 도토리는 캄캄한 밤이 무섭고 춥기까지 하다. 그 때, 낙엽들이 도토리를 포근히 껴안아 준다. 나무에 매달려 있을 때에도 비바람으로부터 도토리를 보호해 주던 낙엽들. 도토리는 낙엽들에게 둘러싸여 가을을 맞는다.<> <
> <
><>어떤 날은 한 할아버지가 와서 갈참나무를 마구 털어 다른 도토리들을 주워 갔다. 또 밤에는 먹이를 찾는 무서운 쥐들이 나타났다. 낙엽 밑에 몸을 숨긴 도토리의 온몸에 식은땀이 줄줄 흘러내렸다. 도토리가 왜 이렇게 숨어 살아야 하느냐며 불평을 하자, 낙엽들은 도토리의 몸속에는 이미 갈참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다는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 준다. 도토리가 살아남아 이 세상에서 다시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이 낙엽들의 꿈이라고. 그러나 도토리는 서로 도와주면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낙엽들의 말을 아직 이해 못한다. 도토리는 낙엽들의 품속에서 편히 겨울잠을 잔다. <><
> <
><>눈이 녹는 소리에 도토리가 눈을 떠 보니, 낙엽들은 이미 썩어가고 있었다. 도토리는 마음이 아프지만 마지막 순간까지 희망의 말을 건네던 낙엽들을 생각하며, 몸이 찢기는 고통을 이겨 낸다. 마침내 도토리는 한 그루의 어린 갈참나무로 다시 세상에 태어난다. 봄날, 숲 속에는 수없이 많은 어린 갈참나무들이 가득 차 출렁거린다. <><
> <
><><
><><
> <
><><작가 소개> <><
> <
><>안도현<><>은 시인으로 유명하다. 이 시인은 따뜻한 시선으로 세상의 여러 풍경들을 보고 아름다운 글로 담아낸다. 안도현은 작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것에서도 존재의 의미를 찾아내는 데 선수다. “연어” “짜장면” “나비” 등의 동화를 썼으며, 여러 권의 시집을 냈다. <><
> <
><><
><><
> <
><>이혜리<><>는 보통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집어내어 그리는 실력 있는 화가다. 감정 변화가 심한 도토리와 말라비틀어진 낙엽은 그녀의 손에서 놀라울 만큼 새롭게 태어났다. “비가 오는 날에” “우리 몸의 구멍” “우리 집에는 괴물이 우글우글”등을 펴냈다. <><
>